반색 또는 그런 기색
2022. 11. 09. (수) ~ 11. 30. (수)
김해민 (1957~)
김해민은 일명 ‘비디오 아트의 아버지’로 불리는 백남준의 계보를 잇는 대한민국 미디어아트의 1세대 아티스트이다. 그는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35년에 걸쳐 미술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남북의 분단문제 또한 종교의 문제 등 다양한 주제로 작품을 제작해오고 있다.
김해민은 1994년 미건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개최한다. 당시 그의 <TV망치(TV Hammer)>(1992)는 미술계에 충격을 주어 주목받는다. 1996년 일본 동경(VA nisiogi)에서 열린 개인전(Video as the Mudang), 1998년 금호미술관의 개인전(Same kind and Defferent kinds), 2003년 일민미술관의 개인전(직립희롱), 2016년 아라리오 뮤지엄의 개인전(smash!) 등 10여 차례의 개인전을 개최한바 있다. 김해민은 국내외의 다양한 그룹전에 초대받았다.
김해민은 미디어 매체의 속성과 인간의 시지각적 감각과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서
영상과 현실의 관계를 분별하고 통찰하는 미디어 작업을 해오고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미디어 작품을 발표해온 한국의 초기 미디어 작가로서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1957 대전출생
개인전
2021 ‘불협’ 미디어전 (갤러리 마리타임, 인천)
2019 ‘농섬 그리고 유희’ 미디어 전 (매향리 스튜디오, 경기도 화성)
2017 ‘널빤지 판’ 미디어전(레이져 갤러리. 서울)
2016 ‘쾅 Smash’ 미디어전(아라리오 뮤지엄, 서울)
2014 ‘지록위마’ 미디어 전 (누크 갤러리, 서울)
2008 김해민 미디어전 (아트 팩토리, 경기도 헤이리)
2003 ‘직립희롱’ 미디어전 (일민 미술관, 서울)
1998 ‘Same kind and Defferent kinds’ 미디어전 (금호 미술관, 서울)
1996 ‘Video as the Mudang’ 미디어전 (VA nisiogi, 동경)
1995 김해민 미디어전 (수 화랑, 서울)
1994 김해민 미디어 설치전 (미건 화랑, 서울)
단체전
2022 ‘백남준 효과’ 미디어아트 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스페이스 미조’ 개관전 ( 스페이스 미조, 경남 남해)
‘R 22’ 갤러리 R 개관전 (갤러리 R, 서울)
2021 ‘한국-독일 온라인 비디오 아트 스크리닝전’ (Ikono TV, 독일)
‘상어, 새로이 일주하다’ 전 (세화 미술관, 서울)
2020 ‘낯선전쟁’ 전 (국립현대 미술관, 서울관)
‘100 Collective Signatures; 전 (대구 미술관, 대구시)
‘미디어 랩소디 (Media Rhapsody)’ 미디어 아트전 (전북도립 미술관, 전북)
2019 ‘7090 한국 비디오 아트’ 시간 이미지 장치 (국립 현대미술관, 과천관)
‘미디어 펑크’. 맏음 소망 사랑 (아르코 미술관, 서울)
‘디어 시네마’ 차이와 반복 (국립현대미술관 필름앤비디오, 서울관)
2018 ’Ovni’ Video Festival 2018 (OVNi in Hotel, Nice France)
‘Try Again Try’ 한국 퍼포먼스 아트 50년 기념전(제주현대미술관, 제주)
‘미디어 아트전’ 빛으로 그리고 영상으로 춤추다 (성남아트센터. 경기도)
‘International Intermedia Project-부재의 기술’ (예술공간 이아, 제주)
‘平窓 peace over window’ 미디어아트 프로젝트(평창창고, 강원도)
2017 ‘서울사진축제’ 국가성찰의 공동체 (북서울미술관, 서울)
‘안평대군의 비밀정원’ 전 (자하미술관, 서울)
‘Video Portrait’ 전 (토탈 미술관, 서울)
‘Watt’ 미디어 전 (아트스페이스 와트, 서울)
2016 ‘ACT Festival 2016’ Heterotopia -익숙한 세계의 다른 이름 (ACC, 광주)
‘홈리스의 도시’ 전 (아르코 미술관, 서울)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 (인터렉티브 미술관, 경기도 가평)
‘六 육’ 전 (송어낚시 갤러리, 대전)
‘Flash back’ 미디어전 (쌍리갤러리, 대전)
2015 ‘빛의 정원’ 미디아전 (정미소 갤러리, 서울)
‘The future is now’ (로마 국립21세기 현대미술관, 로마, 이탈리아)
‘아트프로젝트 울산 2015’ 페스티벌 (가기갤러리, 울산)
‘Peace, Voice, Nice’ 전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현대미술 조망전 동시대의 미술’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4 ‘Beam Space Festival’ 전 (한가람 미술관, 서울)
‘NeMaf’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미디어극장 아이공, 서울)
‘미래는 지금이다’ 미디어 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International Video Art House Madrid’ (마드리드 IVAHM, 스페인)
2013 ‘The Flag Station’ 미디어 전 (쿤스트 독, 서울)
‘정전 60주년’ 기념 특별전–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OCI 미술관, 서울)
‘디지털 퍼니처’ 미디어 아트전 ( 아트센터 나비, 서울)
‘주안 국제 미디어 페스티벌’ (주안 축구 경기장 갤러리, 인천)
‘장면의 재구성 #1 – SCENES vs SCENES’전 (북서울 미술관, 서울)
2012 ‘오’ 미디어 아트 전 (오산 시립미술관, 오산)
‘영상 예술의 도시-대구’ 미디어 아트전 (국립 대구 박물관. 대구)
‘여기 사람이 있다’ – 한국 근 현대 미술특별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Real vs. Super Real’ 전 (대구 아트팩토리, 대구)
2011 ‘육감 맛사지’ 전 (아트센터나비, 서울)
‘포스트 네이처’ 전 (우민아트센터, 청주)
‘EMAP 풍경술’ 국제 미디어 아트 전 (이화여대,서울)
‘미디어 극장’ 전 (갤러리 정미소, 서울)
‘Food Society’ 전 ( 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2010 ‘인다프 INDAF’ 인천 국제디지털아트 페스티벌 (송도 투모로우시티, 인천 )
‘DMC’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디지털 미디어시티, 서울)
‘Tomorrow Festival’ 미디어 아트전 (SBS 방송국 목동, 서울)
‘Applogy’ 퍼포먼스와 전시 (쿤스트 독, 서울)
‘김해민-전지윤’ 관계미학 전 (가회동 60 갤러리, 서울)
‘안성맞춤’ 전 (안성 창작스튜디오, 경기도 안산)
2009 ‘2009 미디어- 아카이브 프로젝트’ (아르코 미술관, 서울)
‘Grenzland’ 전 (Evangelische Stadtakademie, 프랑크 프르트, 독일)
‘모든 경계에는 꽃이핀다’ 전 (대전 시립 미술관, 대전)
‘이코노 텍스트전’ (롯데 화랑, 대전)
2008 ‘현실과 허구의 경계 읽기’ 전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Los Puntos del Compas’ 현대미술전(Fundacion Ludwig de, 하바나,쿠바)
‘Counterpoint’ 전 (galeria U JEZUITOW ul, 폴란드)
‘EXiS2008 국제 실험 영화제’ 국제경쟁부문 (서울 아트 시네마, 서울)
‘이미지의 반란’ 전 (KT&G 별관, 대구)
Media Art Festival in ‘ECC’ ( ECC, 이화 여자 대학교, 서울)
‘작품의 재구성’ 전 ( 경기도 미술관, 경기도)
‘Wonderful Life’ 전 (두산 갤러리, 서울)
2007 ‘Animamix’ 비엔날레 (MOCA,상해 현대 미술관, 중국)
‘Video Dumbo’ 11th Video Art Festival (Dumbo, 뉴욕, USA)
‘역의 정점’국제전 (코리아나미술관, 서울/상해 Bund18 Creative Center,중국)
‘복숭아 꽃 살구 꽃’ 아시아 미술제 (성산 아트홀, 창원 )
‘감염된 풍경’ 전 (대원 갤러리, 서울)
2006 ‘2006‘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 해운대 sk 파빌리온, 부산)
‘차도살인지계’ 전 (카이스 갤러리, 서울)
‘Color of Narrative’ 전 (아트 사이드 갤러리, 서울)
‘토탈.아트.세트전 (대구 MBC 갤러리, 대구)
2004 ‘Reality Check’ (대전 시립미술관, 대전)
‘그 너머를 보다’ ( Space C, 서울)
‘충돌과 흐름’ 전 ( 서대문 형무소, 서울)
2003 ‘다큐멘터리’ 비디오전 (일민 미술관, 서울)
‘Hommage A’ PAIK 백남준‘ 전 ( Space C, 서울)
‘리바이벌’ 전 ( 신 필름 센터, 안양 )
‘춘천 마임 축제’ (예술마당, 춘천)
2002 ‘Serendipity’ Multimedia 아트전 (일본문화원. 퀼른, 독일)
Contemporary Korean Film Festival ’2002’(Aichi Art Center,나고야 일본)
‘Media Art Daejeon-NewYork’ Special Effects 국제전 (대전 시립 미술관)
‘MUdia” – Media’ Art in korea & Shamanism ( 연세대 박물관, 서울)
‘싱글채널 그 이후’ 전 (일주아트센타, 서울)
‘獨身 독신’ 전 (비주얼 갤러리 고도, 서울)
2001 ‘Excess’ Multimedia Art Asia Pacific (Brisbane Powerhouse, 호주)
‘상어 비행기를 물다“ Art Exhibition ( 일주아트센타, 서울)
‘Korean Contemporary Art Show’ (ICAF, Los Angeles 미국)
‘Science In Art’ (대전 시립 미술관, 대전)
‘물’ 전 (서울 시립 미술관)
2000 ‘Media City In Seoul’ 지하철 프로젝트 (광화문 역, 서울) ‘예조’ Multimedia Installation in Asia (Japan Foundation Forum,동경)
‘미술 그 주술적인 힘’ 전 (성곡 미술관, 서울)
‘가상 공간의 샤머니즘’ 미디어 전 (환원 미술관, 서울)
‘Utopia & Distopia’ Multimedia Art전 ( 성산 아트홀, 창원 )
1999 ‘도시와 영상’ 전 (서울 시립 미술관)
‘전환의 봄’ 전 (대전 시립 미술관)
‘아나로그 댄스’ (부산대 콘서트홀,부산)
1998 ‘사진의 시각의 확장’ 전(국립 현대 미술관, 과천)
‘일상의 신화’ 전 (선재 미술관, 경주)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전 ( 금호 미술관, 서울)
‘Body in Painting’ 전 (한림미술관, 대전)
‘봄’ 전 (현대화랑, 대전)
‘영상과 무용의 만남’ (포스트 극장, 서울)
‘KBS’ 미술전 (대전방송국, 대전)
1997 ‘제2회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삶의 경계 (광주 시립 미술관)
‘SCOPE’ 전 (대전 문화원, 대전)
1996 ‘Art at Home’ 전 (서미 갤러리, 서울)
‘The Self and The Other’ 전(Casa 화랑, 동경, 일본)
‘2th IZUMIWAKU Project’ (izumiwaku, 동경, 일본)
“TV” 전 (공평 아트 센타, 서울)
‘Meiho’ Art Symposium (메이호, 일본)
1995 ‘Cinema in Gallery’ 전 (녹색 갤러리, 서울)
‘뼈 – American Standard’ 전 (일회용 갤러리, 서울)
‘제2회’ 바다 미술제 (부산, 해운대)
1994 ’94 과학 + 예술 전 (KOEX, 서울)
‘1회 IZUMIWAKU Project’ (izumiwaku, 동경, 일본)
1993 “FILM FOR ART” Video festival (Kulturgut,, 독일)
제5회 ‘후쿠이’ 국제 비디오 비엔날레 (후쿠이 fine art 미술관, 일본)
EXPO ’93 (대전관, 대전)
‘박람과 외연’전 (홍인 화랑, 대전)
‘Flower Sculpture’ 전 (현대화랑, 대전)
‘Sight and View’ 전 (비젼 화랑, 대전)
‘2인의 미디어전’ (수화랑, 대전)
1992 ‘입장들” 전 (현대화랑, 대전)
‘종이를 통한 자연’ 전 (문예회관, 공주)
‘반사’ 국제 자연미술 심포지움 (슈르벡, 독일)
‘GAIA’ 국제 설치 작가 심포지움 (겔슨 킬슨, 독일)
1991 ‘금강에서의 국제 자연 미술제’ (문예회관, 공주)
‘CAMP IN TAJIMA’ 심포지움 (타지마, 일본)
‘NAN – DONG’ 비디오 설치전 (Q 화랑, 일본)
서울 국제 퍼포먼스 페스티발 (워커힐 미술관, 서울)
1990 ‘90 한일 행위 예술제 (도끼아자 극장, 동경 일본)
1989 한,일 퍼포먼스 페스티벌 (동숭아트센터. 서울)
1988 한국 행위예술제 (앙상블 극장, 대전)
1987 ’제1회 대전 트리엔날레 ( 시민회관, 대전)
레지던시
1992 Selk Kunstlerhaus 작가 레지던시 (독일)
2000 – 2001 삼성 미술관 지원 ‘운니 스튜디오’ 작가 레지던시
작품소장
국립 현대 미술관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mtemporary Art, Korea
서울 시립 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대전 시립 미술관 Daejeon Museum of Art
경기도 미술관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대구 시립 미술관 Daegu Art Museum
제주 도립 미술관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일민 미술관 ilmin Museum of Art
아트 센타 나비 Art center nabi
아라리오 미술관 Arario Museum
인터렉티브 미술관 Interrective Museum, Gapyeong
홈페이지; http://www.kimhaemin.com/
이 슈; https://issuu.com/k.note/docs/knote_no41
인터뷰; MMCA 작가와의 대화 https://youtu.be/-TCQ6WABZ08